문화/유적

  • 박제상유적 - 전경사진
  • 박제상유적 - 외관
  • 박제상유적 - 돌무덤
컨트롤박스
이전
1 / 3
멈춤
재생
다음

박제상유적

조회수 691 좋아요 17

  • 구분
    문화유적
  • 주소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만화리 산30-2외

한줄소개

신라시대 충신 박제상의 유적지

내용

 박제상은 신라 눌지왕 시기 활동한 충신이다.『삼국사기』에서는 신라 시조 혁거세(赫居世)의 후손으로 제5대 파사이사금의 5대손이며 할아버지는 아도갈문왕(阿道葛文王), 아버지는 파진찬(波珍飡) 물품(勿品)으로 되어 있다.
당시 신라는 고구려 및 왜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내물왕의 둘째아들 복호를 고구려에, 셋째아들 미사흔을 왜에 볼모로 보내었다.
내물왕의 큰아들 눌지왕은 즉위 후 두 동생을 고구려와 왜로 부터 구출하기 위해 박제상을 천거하였다.
박제상은 양산(梁山) 지방의 토호 세력으로서 삽량주간(歃良州干)이라는 직책에 있었다. 그는 418년(눌지왕 2) 왕명을 받들어 고구려에 가서 장수왕을 언변으로 회유하여 복호를 구출하고 무사히 귀국하였다. 다시 왜국에 인질로 가 있는 미사흔을 구출하기 위해 부인의 간곡한 만류를 뿌리치고 왜로 떠났다. 미사흔의 구출에는 성공하였으나, 자신은 붙잡히고 말았다.
왜왕은 박제상을 신하로 삼기 위해 감언이설과 협박으로 회유했으나, 박제상은 끝내 신라에 대한 출정을 지키다가 참형을 받아 죽었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자 눌지왕은 그의 죽음을 애통해 하며 그를 대아찬으로 추증하고 부인을 국대부인(國大夫人)으로 책봉했으며, 둘째 딸을 미사흔의 아내로 삼게 하였다.

<치산서원지>
치산서원지는 치산서원의 옛터이며, 1745년(영조21) 박제상과 그의 부인인 금교부인(金校夫人) 및 두 딸의 충혼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서원 안에는 박제상을 모신 충렬묘(忠烈廟)와 금교부인을 모신 신모사(神母祠), 두 딸을 모신 쌍정려(雙旌閭)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1990년부터 복원을 시작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망부석과 은을암>
울주군 두동면 월평리(산156번지)에 있는 바위로, 박제상의 부인 치술신모와 관련되어 있다. 왜로 간 박제상이 미사흔을 무사히 신라로 보내고 자기는 왜인의 손에 죽었다. 구전에 의하면, 부인이 남편을 사모하는 마음을 가누지 못하여 두 딸과 함께 치술령에 올라가 왜국을 바라보며 통곡하다 죽어 몸은 돌로 변해 망부석이 되었고 혼은 새가 되어 바위에 숨었다고 전해진다. 뒤에 사람들이 새[乙]가 숨은[隱] 바위[巖]를 은을암(隱乙巖)이라 하였다.

부가정보

o 울산광역시 기념물
o 운영시간 : 충렬공박제상기념관 09:00~18:00
                  휴무 매주 월요일, 명절 당일
o 주차시설 : 있음 (대형버스 주차가능)
o 화 장 실 : 남·여 구분
o 반려동물 동반가능

장애인시설

장애인주차구역

지도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만화리 산30-2외

주변정보 검색하기

  • 여행지
  • 축제/문화
  • 먹거리
  • 숙박
  • 쇼핑

여행지

컨트롤박스
이전
다음

축제/문화

컨트롤박스
이전
다음

먹거리

컨트롤박스
이전
다음

숙박

컨트롤박스
이전
다음

쇼핑

컨트롤박스
이전
다음

정보담당자 담당부서 : 행정 전화번호 :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